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임대 vs 공공임대, 뭐가 다를까? | 임대주택 종류 비교

by 지원신청맨 2025. 3. 10.

 

헷갈리는 임대주택 종류, 쉽게 비교해서 알아보세요!

임대주택의 기본 개념

임대주택은 무주택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국가나 공공기관이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하는 주택입니다. 대표적으로 국민임대주택공공임대주택이 있으며,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입주 조건과 임대 조건에서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국민임대와 공공임대의 차이점 비교

항목 국민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공급 주체 LH(한국토지주택공사) LH 또는 지방공사
입주 대상 무주택 저소득층 무주택 서민 전반
소득 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평균소득 70% 이하 대체로 100~120% 이하 (유형에 따라 상이)
임대 기간 최장 30년 10년, 5년 등 공급유형에 따라 다름
임대료 수준 시세의 약 60~80% 시세의 약 80~90%
주택 규모 주로 전용 26㎡ ~ 59㎡ 26㎡부터 85㎡까지 다양
분양 전환 여부 불가능 일부 가능 (10년 공공임대 등)

국민임대가 더 적합한 경우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저소득 가구
  • 임대료 부담이 큰 무주택 세대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주거가 필요한 경우

공공임대가 더 적합한 경우

  • 중위소득 이상이지만 주택 구매가 어려운 무주택자
  • 자녀가 있는 중산층 가정
  • 향후 분양 전환 가능성을 고려하는 세대

신청 방법 및 참고 사이트

국민임대와 공공임대 모두 LH 청약센터에서 공고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전 반드시 모집 공고의 자격요건, 우선순위, 제출서류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국민임대와 공공임대는 모두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이지만, 대상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에 맞는 주택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년 상이한 조건이 발표되므로, 최신 공고문 확인을 생활화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