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 청년들을 위한 대표 임대주택 두 가지를 비교해봅니다.
청년 임대주택,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LH에서는 청년층의 주거 부담 완화를 위해 다양한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이 비교되는 두 가지가 청년 전세임대와 행복주택입니다. 둘 다 임대료가 저렴하고 조건이 유사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공급 방식, 임대 기간, 자율성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청년 전세임대 vs 행복주택 비교표
항목 | 청년 전세임대 | 행복주택 |
---|---|---|
공급 방식 | LH가 전세계약을 대신 체결 | LH가 보유한 공공주택 공급 |
입주 대상 | 만 19~39세 이하 청년 (소득기준 적용) | 청년,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
임대 기간 | 최대 6년 (1~2년 단위 갱신) | 최대 6년 (청년 기준) |
임대료 부담 | 전세보증금 일부 지원, 월 임대료 저렴 | 시세의 60~80% 수준의 월세 |
거주지 자율성 | 본인이 원하는 집을 선택 가능 | 지정된 단지에서 선택 |
주거 형태 | 다세대, 원룸 등 기존 민간주택 | LH 또는 지방공사 보유 아파트 |
신청 방법 | LH 청약센터에서 신청 | LH 청약센터 또는 지역 공고 확인 |
청년 전세임대가 유리한 경우
- 직장 또는 학교 주변에 원하는 집이 있는 경우
- 독립적인 주거 공간을 선호하는 경우
- 자율성이 높은 주거 형태를 원할 때
행복주택이 유리한 경우
- 시설이 잘 갖춰진 LH 소유의 공공단지를 선호할 경우
- 다른 청년들과 커뮤니티가 형성된 환경을 원할 때
- 주거비 부담을 월세 형태로 꾸준히 관리하고 싶을 때
신청 자격 요건 요약 (2025년 기준)
- 청년 전세임대: 만 19~39세, 부모 소득 또는 본인 소득 기준 충족 필요
- 행복주택: 만 19~39세, 무주택자, 소득 기준 100% 이하
신청 방법 요약
- LH 청약센터 접속 (https://apply.lh.or.kr)
- 회원가입 및 자격조건 확인
- 청약 신청서 작성
- 서류 제출 및 결과 발표